치아맹출장애와
앞니 반대교합을 동반한
덧니교정
안녕하세요~
수원 서울나란이 교정치과 대표원장
치과교정학박사 오문비입니다.
오늘 보여드릴 케이스는
치아맹출장애와 앞니 반대교합을 동반한
덧니교정 케이스입니다.
 
상기 환자분은 제가 교정했던
치아맹출장애 20대 여자 환자분 소개로 오신
친구분이셨는데요.
교정치료로 예뻐진 친구분을 보고
찾아오셨다고 해요.
(이럴 때 정말 큰 보람을 느낍니다.)

상기 환자분은 치성CII 부정교합과 함께
치아맹출장애와 앞니반대교합을 동반하고 계셨는데요.
엑스레이에서 파란색 화살표는 이소맹출 치아,
빨간색 화살표는 매복치아입니다.
환자분 기준으로
우측 상하악 작은 어금니가 혀쪽으로 이소맹출하였고
좌측 상악 송곳니도 제자리로 나오지 못하고
이소맹출되었습니다.
또, 좌측 상악 작은어금니 하나는
아예 맹출되지 못한 채 매복되어 있었습니다.
/
"치아맹출장애"
치아맹출장애란 쉽게 말해서
치아가 제자리로 나지 못한 것을 말합니다.
치아가 맹출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아 맹출의 균형이 깨지게되어
치아의 맹출이 멈추거나 저해되거나
비정상적인 위치로 맹출하는 것입니다.
치아의 맹출이 멈춘 경우를 매복이라 하고,
치아의 맹출이 저해되는 경우는 맹출지연,
치아가 비정상적인 위치로 맹출하는 것을
이소맹출이라 합니다.


위 사진에서 파란색 동그라미는 이소맹출된 치아,
빨간색 점선 동그라미는 맹출하지 못한
매복치아의 위치를 보여줍니다.
매복치아는 파노라마 엑스레이를 통해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CT를 찍어 치아의 형태, 위치, 방향 등을 확인합니다.
/
"치아맹출장애의종류"
1. 매복
치아 매복이란 일정한 시기가 지나도
치관이 맹출하지 않고 구강점막이나 악골 내에
묻혀있는 치아를 말합니다.
2. 이소맹출
이소맹출이란 치아맹출장애의 하나로서
치아크기와 악골 크기의 부조화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치아가 비정상적 위치로 맹출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3. 맹출지연
유치나 영구치가 정상적인 맹출시기가 지나도
맹출되지 않고 맹출이 늦어지는 경우를
맹출지연이라고 합니다.
/
"치아맹출장애의 원인"
1. 국소적 원인
치배의 위치가 정상맹출경로에서 벗어나있거나
구강 내로 맹출할 공간이 부족한 경우
치아맹출장애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 치아의 맹출경로 상에 과잉치나 치아종,
낭종, 반흔조직, 유착치 같은 장애물이 있는 경우
치아맹출이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하고
그 위치에서 멈추게 됩니다.
2. 전신적 원인
내분비 대사장애, 특정 증후군에 의한 치낭이나
치주인대 결함으로 인해 맹출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맹출장애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쇄골두개이형성증, 다운증후군, 갑상선 기능 저하증,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 연골발육부전성 소인증
등이 있습니다.
/
"치아맹출장애와 앞니 반대교합을 동반한 덧니교정 케이스"
치아가 삐뚤삐뚤하고 앞니가 거꾸로 물려요

 
이 환자분은 상악 좌측 작은어금니 하나가 매복되어
상악 좌우 치아개수가 다릅니다.
치아 하나가 매복되었는데도 불구하고
같은 쪽 송곳니도 나올 자리가 부족하여
송곳니도 이소맹출이 되었습니다.
반면 하악치아는 삐뚤빼뚤하게라도
영구치가 모두 맹출하였기에
치아개수가 모자른 상악치아배열로 인해
앞니 반대교합도 생겼습니다.

이 환자의 경우 이소맹출과 매복치의 원인이
맹출공간 부족이었고
입술라인이 돌출감이 있었기 때문에
발치를 통해 교정치료를 진행하였습니다.
맹출된 작은 어금니 3개와 매복치를 발치하고
2년간 교정치료를 진행하였습니다.
발치공간을 이용하여 치아를 배열하고
발치공간을 닫는 과정에서
앞니와 어금니의 이동량을 조절하여
II급 부정교합이었던 어금니관계와
앞니 반대교합을 개선하였습니다.
더불어 위아래 앞니 중심선이 틀어져있던
치아비대칭도 개선하여
위아래 앞니 중심선이 일치하게 되었습니다.
(치아맹출장애 교정이라고 해서 항상
발치가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